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과학산책] 일년 도드리

우리나라 정악(正樂)에 ‘도드리’라 부르는 곡이 있다. 환입(還入)이라고도 하며, 문자 그대로 ‘돌아 들어간다’는 뜻이다. 왜 이런 제목인지 궁금하겠지만 들어보면 정말 무언가 돌며 순환하는 기분이 든다. 물리에서 회전운동을 시간의 함수로 기술하듯, 도드리 장단이 시간을 어떻게 나누는지 알아보면 한 해를 떠나보내며 돌고 도는 인생을 바라보는 데 참고가 된다.   도드리 6박 한 장단의 핵심은 다섯 번째 박(拍)인데, 끝자락 엉뚱한 박에서 장구가 ‘더러러러~’ 들어오며 풀어줌과 동시에 다음 장단을 준비하듯 부추겨준다. 팝 음악에 자주 쓰이는 엇박과 비슷하다.   일상에 흐르는 시간을 장단처럼 생각해보자. 연속 과정 같은 하루하루에 비해 해가 넘어가는 것은 큰 변화로 느껴진다. 일년이 더 긴 시간 단위인 데다, 나이 한 살 더 먹는다는 것과 연말연시에 갖는 모임과 행사들이 변화의 느낌을 증폭시킨다. 우리가 어떻게 사는가에 관계없이 하루 혹은 1년이라는 시간 단위를 주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 운동은 유유자적이다. 허나 빠르다. 주변 우주 공간에 대해 자전하는 지구 표면의 선속도는 초속 464m이다. 공기 중 음속의 1.3배다. 더 느려 보이는 태양 중심 지구 공전 속도는 무려 초속 3000m다. 이렇게 빠른 회전목마를 타면 당장 튀어나가겠지만, 지구의 자전과 공전반경이 커서 해당하는 원심력은 지구 중력의 100분의 1도 안 된다. 지구 밖으로 튀어나갈 걱정은 없다.   우리 모두 이렇게 빨리 움직이는 지구를 타고 우주여행을 하고 있다. 한 장단을 절묘하게 나누어 도드리란 음악이 살아나듯이 태양 주변을 45억 번째 돌고 있는 단순 반복 회전운동에 연말을 잘 맺으며 새롭게 시작하는 것이 삶에 중요한 리듬감을 준다. 새해의 각오를 언어로 구체화하면 효과 있을 때가 있다. 인생 흐름에 깔려 흐르며 조이고 풀어주는 장단을 느껴보면 무언의 활력소를 얻을 수 있다. 황원묵 / 텍사스A&M대 생명공학부 교수과학산책 도드리 도드리 장단 지구 공전 지구 표면

2024-12-25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별똥별

얼마 전 인기리에 방영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란 TV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제 이름은 똑바로 읽어도 거꾸로 읽어도 우영우입니다.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인도인 별똥별 우영우'라고 자기를 소개한다. 여기에 별똥별이 나온다. 누구나 한 번쯤은 긴 꼬리를 달고 떨어지는 별똥별을 보면서 소원을 빈 적이 있다. 하지만 고작 1~2초 사이에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소원을 다 빌지도 못했던 기억이 난다. 빌던 소원이 중간에서 끊어졌기 때문에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모른다. 대체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별이 떨어지면 사람이 죽는다고 생각했다. 별똥별의 한자어는 유성이다.     우리 우주는 거의 비어 있다. 그러나 그 속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무수히 많은 은하가 널려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천억 개가 넘는 크고 작은 은하가 이 우주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그런 은하는 엄청난 수의 행성, 즉 별로 채워져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별은 자신을 공전하는 행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메다은하에는 1조 개에 가까운 별이 있지만, 우리가 속한 은하인 은하수에는 약 4천억 개의 별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태양이다.     그 태양 주위를 모두 8개의 행성이 공전하고 있는데 태양에서 세 번째로 가깝게 도는 행성이 바로 우리가 사는 지구다. 그리고 지구 주위를 달이라는 위성이 돌고 있다. 수성과 금성에는 위성이 없고 지구에는 달이란 위성 딱 하나뿐이지만, 우리의 형제 행성인 목성의 위성은 80개나 되고 토성에는 83개의 위성이 돌고 있다.     그것이 끝이 아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아주 긴 타원궤도를 그리며 도는 혜성이란 것도 있다. 그리고 지구나 화성 같은 행성보다 좀 더 작은 천체를 특별히 왜소행성이라고 부르는데 얼마 전 태양계 행성에서 탈락한 명왕성이 바로 왜소행성에 속한다.     중심성 태양에서 거의 일정한 규칙을 따라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돌고, 그 다음에는 한 궤도를 건너뛰어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우리 태양계를 이루고 있다. 건너뛴 그곳에는 행성은 없고 작은 천체 조각이 무리를 지어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그 작은 무리를 일컬어 소행성대라고 한다.     그런 소행성대의 아주 작은 파편이나,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 그리고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가 우연히 지구 공전 궤도 상에 놓이게 되면 지구가 그곳을 지날 때 지구 중력에 끌려와서 지구 대기권과의 마찰로 타게 된다. 그렇게 타면서 지구 표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유성, 즉 별똥별이다. 대부분 추락 중에 모두 연소해버리지만, 때에 따라서 타다 만 작은 조각이 땅에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운석이다.     대체로 유성이 비처럼 쏟아진다고 해서 유성우라고도 하는데 혜성이나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부스러기가 널려있는 곳과 지구 공전 궤도와 겹칠 때 별똥별이 무더기로 떨어지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유성은 행성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가 아니라 지구 대기권을 통과할 때의 마찰로 타기 때문에 마치 빛을 내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그러므로 엄밀히 말해서 별똥별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서 우리에게 쏟아지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유성들이 모여있는 곳으로 파고들어서 생기는 현상이다. 그러니 앞으로는 유성우가 쏟아진다고 하지 말고 우리가 유성 속으로 돌진한다고 표현해야 옳다. (작가)       박종진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별똥별 태양계 행성 인도인 별똥별 지구 공전

2023-03-0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